
block chain 개념 사전 개념 네트워크(http, socket) 분산원장 c.f)socket(p2p 연결형식) Hash sha256 단방향 암호화(복호화 ((그래서 모든 포털사이트에서 아이디는 찾아도 비밀번호는 그냥 재설정하는 이유))할 수 없는 암호시스템) 자리수 고정됨(a를 넣어도 64글자 marvel를 넣어도 64자리) merkle Tree 만들어진 목적 1. 해당 거래를 효율적으로 찾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짐. 위의 블록에서 L4를 찾아가려면 1>2>3>4로 찾아가는 과정 없이, hash1>hash1-1로 2단계로 찾아가면 되니 효율적이다. 2. 또한 위변조를 감지할 수 있다. 하위 노드값을 변조하면 해시값이 바뀌고, 그로 인해 상위 노드값이 변하기 때문에 결국 top hash값이 바뀌..
//block.js const { Console } = require('console') const fs = require('fs') const merkle = require('merkle') class Block{ constructor(header, body){ this.header = header this.body = body } } class BlockHeader { constructor (version, previousHash, timestamp, merkleRoot, bit, nonce){ this.version = version this.previousHash = previousHash this.timestamp = timestamp this.merkleRoot = merkleRoot this..
◆Position 속성 태그를 어떻게 위치시킬지 정의한다. 5가지 값을 가진다. static : 기본 값, 다른 태그와의 관계에 의해 자동으로 배치 됨.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를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. 이 값을 지정할 일은 없지만 이미 설정된 position을 무력화하기 위해 가끔 사용된다. inherit : 부모 태그의 속성 값을 상속 받는다. relative : 상대위치. 원래 있던 위치(static위치)를 기준으로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를 사용하여 위치를 이동시킨다. absolute : 부모 요소 또는 가장 까까이 있는 조상 요소(static은 제외)를 기준으로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만큼 이동한다. 즉, relative, abs..

◆Position 속성 태그를 어떻게 위치시킬지 정하는 속성이다. static : 기본 값, 다른 태그와의 관계에 의해 자동으로 배치 됨.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를 임의로 설정할 수 없다. 이 값을 지정할 일은 없지만 이미 설정된 position을 무력화하기 위해 가끔 사용된다. inherit : 부모 태그의 속성 값을 상속 받는다. relative : 상대위치. 원래 있던 위치(static위치)를 기준으로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를 사용하여 위치를 이동시킨다. absolute : 부모 요소 또는 가장 까까이 있는 조상 요소(static은 제외)를 기준으로 좌표(top,bottom,left,right)만큼 이동한다. 즉, relative, absolute,fi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