솔루션 const solution = (my_string) => { const answer = [...my_string] .map((v) => v.toLowerCase()) .sort((a, b) => (a b ? 1 : 0)) .join("")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
솔루션 const solution = (quiz) => { const answer = quiz.map((v) => { const [formula, answer] = v.split("="); return eval(formula) === +answer ? "O" : "X"; })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
솔루션 const solution = (array) => { const answer = [...array.join("")].filter((v) => v === "7").length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 솔루션 const solution2 = (array) => { const answer = array.join("").split("7").length - 1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
솔루션1 const solution = (my_str, n) => { const answer = []; for (let i = 0; i { const answer = my_str.match(new RegExp(`.{1,${n}}`, "g")); // 정규식 이용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 정규식은 진짜 볼때마다 새롭고 짜릿하고 내 고사..
솔루션 const solution = (M, N) => { const answer = M * N - 1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
솔루션1 const solution = (num, total) => { const numArray = Array.from({ length: num }, (_, i) => i); const sum = numArray.reduce((x, y) => x + y); const answer = numArray.map((v) => v - (sum - total) / num);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 솔루션2 const solution2 = (num, total) => { let answer = []; let ceilNum = Math.ceil(total / num - Math.floor(num / 2)); console.log(ceilNum); answer = Arra..
솔루션1 const solution = (common) => { const isTrue = (arr) => arr[2] - arr[1] === arr[1] - arr[0]; // 배열의 2번째 1번째 뺀 값이 1번째 0번째 뺀 값이랑 같니 console.log(isTrue(common)); // true, false const answer = isTrue(common) ? common[common.length - 1] + common[1] - common[0] // true면 등차수열 : common[common.length - 1] * (common[1] / common[0]); // false면 등비수열 console.log(answer); return answer; };

제가 아직도 Restful한 API에 대해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는듯 하여 여기저기 블로그 글 보고 이해하기 쉬운 내용들과 내가 이해한 내용을 기반으로 정리해놓으려고합니다. REST REST는 프로토콜이나 표준이 아닌 아키텍처 원칙 세트입니다. API 개발자는 REST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. REST구성요소 REST API는 자원(Resource), 행위(Verb), 표현(Representations)의 3가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. 구성 요소표현 방법의미 자원(Resource) HTTP URI URI는 정보의 자원을 표현해야한다. 행위(Verb) HTTP Method GET,POST,PUT,PATCH,DELETE와 같은 메서드 표현(Representations) HTTP Message ..